Wesley는 23살에 사제(Priests)로 안수받은 후에 Oxford University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성직자로서 모든 의무를 수행하며, 말씀을 전하고 성례전(sacraments)을 집례 하였다.  유럽의 종교개혁자들과 마찬가지로 성공회도 두 가지 성례전, 곧 세례(baptism)와 주의 만찬(Lord’s Supper)을 인정하였다.  부흥운동 초창기, 복음전도자 George Whitefield는 식민지 미국으로 떠나기 전에 Wesley에게 야외설교를 권유하였다.  처음에 Wesley는 교회당 밖에서 설교하는 계획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후에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회심하는 역사를 이루었다.  그는 성공회 지도자(Anglican leaders)들이 전통적이지 않은 사역 방식에 대하여 비판하자 ‘세계는 나의 교구다’(I look upon all the world as my parish)라는 유명한 말로 응답하였다.

Wesley는 ‘신도회’(Methodist society)라고 명명한 주중 집회를 시작하였다.  오늘날 교회에서 주중에 드리는 예배와 많이 비슷하다.  그러나 당시에 주중 예배는 아주 새로운 기획이었고, 주일 아침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와 사역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보다 더 친밀한 교제를 원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었다.  Wesley는 다시 한번 성경이 가르쳐주는 하나님이 제정하신 다양한 은혜의 수단에 기도와 성경공부, 금식과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사역이 포함된다는 사실을 믿게 되었다.    

Wesley가 『Hymns And Sacred Poems』에서 “다른 경건은 없고 오직 사회적 경건(social holiness)만 있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공동의 친교와 책임이 없이는 거룩한 생활을 드러낼 수 없다는 뜻이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가 소그룹 안에서 제자들을 친밀하게 성장시킨 것처럼, 다양한 모임들이 그리스도인으로서 영적으로 성장하고 효과적으로 사역하게 하는 분명한 길이라고 확신하였다.  실제로 감리교인들은 여러 형태의 소그룹(small groups)을 통하여 전도(evangelism)와 제자훈련(discipleship), 구제사역(ministries of compassion)을 수행하였다.

Wesley가 보여준 성령의 철저한 임재와 능동적인 역사에 대한 믿음은 창조적인 사역의 중요한 동력이었다.  Calvin과 달리 Wesley는 오늘의 세계에서 역사하는 성령의 활동에 대하여 성경이 말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반대로 성령이 신자들에게 ‘영적 열매들’(갈 5:22-23)과 함께 ‘영적 은사들’(롬 12:6-8, 고전 12:4-11, 엡 4:11)을 준다고 믿었다.  신자들은 이 은사들을 사용하여 어떤 식으로든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그는 은사중지론자(cessationist)들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Wesley는 신학적으로 ‘은사지속론’(continuationism)에 가까운 입장을 가졌다.  물론 그가 이러한 용어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성령이 신자들 안에서 그들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역사하기 원한다고 분명하게 믿었다. 

사역에 있어서 Wesley가 남겨준 가장 큰 공헌은 감리교회의 평신도 사역자를 파송하여 각종 회의를 인도하도록 한 것이었다.  더욱이 감리교회가 놀라울 정도로 부흥하면서 교인들을 돌불 수 있는 안수받은 목회자들이 충분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평신도 사역자들이 여러 가지 지역을 순회하면서 ‘신도회’(Methodist society)를 지도하고 소그룹에 속한 신자들의 다양한 요청을 들어주었다.  특별히 안수받은 목사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공식적인 예식이나 성례전을 집례 해야 하는 경우에 Wesley는 안수받은 목회자들을 신도회에 보냈다.

Wesley가 처음 시도한 가장 용감한 실천은 여성을 평신도 지도자로 파송한 것이었다.  이는 교회사에 전례가 없는 경우로, 그 역시 이 문제가 교회 부흥운동에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논란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Wesley가 여성 사역자들을 신도회에 파송한 것은 어머니 Susanna Wesley의 격려에 크게 힘입은 것이고, 성령이 남성뿐 아니라 여성에게도 은사와 달란트를 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고전 12:4-11).  성경은 여성들이 교회 안에서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을 금하는 것처럼 보이지만(고전 14:34, 딤전 2:11-12), Wesley는 성경 본문들을 꼼꼼하게 읽으면서 여성 지도력과 관련한 가르침들은 공적인 사역에서 여성 지도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기록되었다고 해석하였다.  평신도 여성 사역자들은 주어진 기회에 응답하였고, 속회와 밴드 모임에서 여성 신자들을 인도하면서 효과적인 사역이 이루어졌다.

Wesley가 평생 동안 가장 놀라운 지도력을 보여준 부분은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일이었다.  그가 기독교의 사회 참여를 특별하게 실천한 사람은 아니지만, 교회사에 나타난 교회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너무 자주 간과하였다.  반면 Wesley는 가난한 사람들을 ‘그리스도가 돌보셨던’(Christ's poor) 사람들로 생각하면서, 그들을 돌보는 일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그는 자신의 설교 『The Use of Money』에서 말한 것처럼 성경에 가난한 자들을 돌보라는 명령이 수백 군데 나온다고 믿었다.  무엇보다도 구제사역을 통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음식과 의복, 현금을 지원하였고, 감옥을 방문하였으며, 고아원을 설립하고, 어린이들을 위하여 무료에 가까운 학교들을 세웠다.

또한 Wesley는 노예무역(slave trade)에 대하여 크게 분노하였다.  사람은 다른 사람을 노예로 삼아서는 안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살게 해서는 안 되며, 가족을 흩어지게 하거나 신체적으로 학대해서는 안 되며, 저항하는 노예를 죽여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가난과 불의한 일로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돌보는 구제 사역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들이 가난해지는 근본 원인을 개선하는 사역을 지원하였다.  그에 따라 교도소 개혁(prison reform)과 노예제 폐지(abolition of slavery)를 위한 활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Thoughts upon Slavery』라는 소책자를 출판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이렇게 주장하였다.  “자유는 창조된 모든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부여받은 권리다. 때문에 인간이 만든 법은 자연의 법이 부여하는 인간의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  Wesley는 생애 마지막 편지를 노예폐지론자인 William Wilberforce에게 썼다.  이 편지에서 Wesley는 Wilberforce가 영국 의회에서 노예 교역에 관한 법들을 바꾸려는 노력이 정당하다며 꾸준한 노력을 요청하였다. 

Calvin과 Wesley 모두 교회 사역에 크게 기여했지만, 사역의 방법에 있어서 두 사람은 다른 길을 갔다.  Calvin은 권위를 중시하는 강력한 ‘하향식’(top-down)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그는 엄격하게 구별하여 지도자들을 선정하고, 특별히 설교와 성례전의 집례를 훈련하고 그들을 통하여 교회를 유지하는 승리주의 관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였다.  Calvin은 사람들의 다양한 요구에 창조적으로 응답하는 사역보다는, 개혁주의 전통(reformist tradition)이 이해하는 것처럼, 말씀과 성례전을 통하여 신학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에 충성하는 일에 주된 관심을 가졌다.  때문에 그는 개혁교회가 해석한 정통 기독교 신앙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과 논쟁하면서, 정통주의를 선포하고 수호하는 일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교회 안에서 논쟁(polemics)과 변증(apologetics)이 필요한 경우가 분명히 있다.  하지만 사역에서 그러한 부분이 중심이 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Calvin은 순수한 복음선포와 성례전의 집례를 유지하는 것이 사역의 중요한 영역이라고 이해하였지만, 오히려 신자들을 통제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었다.  Calvin은 목사와 교사들이 신자들을 훈련시키고 지키는 사람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훈련은 신학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질문하지 못하게 하고 그들의 요구에 혁신적인 해결을 발견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뿐이다.

반대로 Wesley는 신자들과 사회의 필요에 응답하는 것을 사역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혁신적이면서 성경적으로 건전한 방식을 폭넓게 수용하였다.  그는 여성 지도력의 강화를 포함하여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의 지도력을 함께 강화하였다.  또 이를 통하여 영적으로 뿐 아니라 물리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사역을 포함해 교회 사역의 범주를 크게 확대하였다.  Wesley는 사역에 나타나는 모든 문제들은 성경의 가르침을 신실하게 따르면서 성령의 지속적인 임재와 능력을 힘 일을 때 하나님의 선교로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칼빈과 웨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사랑  (2) 2024.09.08
하나님의 통치  (1) 2024.09.01
칼빈과 사역  (0) 2024.07.21
다양한 사역  (0) 2024.07.07
웨슬리와 구원  (0) 2024.06.23
Posted by 꿈꾸는 사람들
,